Docker(2) - 도커를 위한 환경세팅 및 도커 레지스트리
Docker 실습을 위한 설치 및 환경 세팅
Ubuntu 설치
https://ubuntu.com/download/desktop
Virtual Box 설치
https://www.virtualbox.org/wiki/Downloads
Virtual Box 세팅
1. 가상 머신 생성
2. Ubuntu 이미지 업로드
3. 사용자 이름 및 비밀번호 생성
4. 리소스 스펙 설정
5. [다음] 또는 완료 후, 생성한 가상머신 선택 후, 시작
6. 우클릭 터미널 열기 > 루트 사용자 전환 > Docker 설치
sudo -i
위와 같이 진행하면, 도커를 사용하기 위한 가상 머신 세팅 끝
Docker Registry
Docker 레지스트리는 Docker 이미지를 저장하고 배포하는 중앙 저장소를 하는 서비스이다. 이 레지스트리에서 Docker 이미지를 관리하거나, 사용자 또는 서버가 필요할 때 저장소에 있는 이미지를 다운로드하거나 푸시할 수 있게 해준다.
Docker 레지스트리의 유형은 Public과 Private 레지스트리로 나뉜다. 퍼블릭 레지스트리는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레지스트리로, 가장 대표적인 예가 Docker Hub이다. 여기에는 수많은 공개 Docker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어, 필요할 때 검색하고 다운로드 할 수 있다. 반면, Private 레지스트리는 조직이나 개인이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레지스트로, 이미지를 외부에 공개하지 않고 내부적으로만 사용할 때 활용되는 레지스트리이다.
Docker hub
https://hub.docker.com/
아래 명령어들을 통해 도커 이미지를 검색 및 다운로드, 그리고 설치된 Docker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 Docker Registry에서 이미지 검색
sudo docker search {이미지명}
# Docker 이미지 다운로드
sudo docker pull {이미지명 + tag}
# 설치된 이미지 확인
sudo docker images
* 참고로 루트 사용자 전환을 했으면, sudo 명령어는 명시하지 않아도 됨.
Docker 이미지 검색
- 위와 같이 search 명령어를 통해 지정한(예: tomcat) 이미지 관련 설치 가능한 목록과 설명들을 확인할 수 있다.
Docker 이미지 설치
- pull 명령어로 원하는 이미지를 레지스트리에서 설치할 수 있으며, 따로 버전을 명시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최신 버전으로 설치된다.
설치된 Docker 이미지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