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HTTP6

http method 웹의 리소스 식별 리소스란? HTTP 요청 또는 응답 대상을 리소스라고 하며, 웹 페이지, 문서,이미지 등 그 어떤 것이든 리소스가 될 수 있다. HTTP에서 각 리소스는 URI(URL+URN(잘 사용되지 않음))로 식별된다. 즉, 쉽게말해 리소스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간 주고 받는 어떠한 데이터(웹페이지 ,문서, 이미지, 모든 웹 콘텐츠 등)인 것이고, http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간 리소스를 안전하게 요청 또는 응답받기 위해 규칙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인 것이다. 좋은 API URI 설계 규칙 가장 중요한 것은 리소스를 식별 -> 리소스를 URI에 매핑 - 예: /members(리소스)/100 - 회원 조회, /members(리소스)/200 - 회원 등록 등. 리소스와 리소스를 처리하는 행위를 분리 HTTP .. 2023. 11. 10.
http 상태코드 HTTP 상태코드 http 상태코드는 http 프로토콜을 통해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의 통신 중에 전달된다. 상태코드의 역할은 클라이언트에게 요청한 결과의 응답 상태를 알려주는 데 사용된다. 상태 코드 1xx(Informational) : 요청은 수신되었고 처리 중을 나타낸다 (사용될 일이 거의 없는 상태코드) 2xx(Successful) :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됨을 나타낸다. 3xx(Redirection) : 요청을 완료하려면 추가 동작이 필요함을 나타낸다. 4xx(Client Error) :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오류가 있음을 나타낸다. 5xx(Server Error) : 서버가 요청을 처리하는 도중 서버 측의 오류로 요청을 정삭적으로 처리하지 못함을 나타낸다. *참고* 클라이언트가 인식할 수 없.. 2023. 11. 10.
인터넷 네트워크 통신, TCP/IP패킷 인터넷 통신 인터넷 통신은 컴퓨터와 다른 장치들이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주고 받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 과정은 다양한 프로토콜과 기술을 사용하여 이루진다 인터넷 통신망: 인터넷은 전 세계적으로 분산된 여러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다. 네트워크들은 서로 다른 지리적 위치에 있는 여러 노드들로 구성되며, 이 노드들이 서로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 받는다. 프로토콜과 기술: 인터넷 통신은 다양한 프로토콜과 기술을 사용하여 이루어짐. 예를들어 TCP/IP 프로토콜 스택은 인터넷에서 데이터 전달을 담당하고, HTTTP/HTTPS, FTP, SMTP등은 인터넷을 통한 다양한 서비스와 응용프로그램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노드: 네트워크를 통해 장치 간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여러 노드들을 거친다. 여기서 노드는, 네트워.. 2023. 10. 27.
웹 브라우저 요청 흐름 (간략) 웹 브라우저 요청 흐름 (간략)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가 아래 경로로 서버에 요청한다고 가정한다. 예: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top_hty&fbm=0&ie=utf8&query=무빙 웹브라우저에서 URL을 읽어들여, HTTP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 SOCKET 라이브러리를 통해 전달 (TCP/IP 연결 (IP, PORT)- TCP 3way handshake) TCP/IP 패킷 생성, HTTP 메시지 포함(아래와 같은 형태) 서버로 전송 요청 메시지 요청 흐름 이후 요청 패킷이 서버에 도착하고, 서버에서는 응답 패킷을 아래와 같은 형태로 전달한다. 응답 패킷이 클라이언트에게 전송된 후, 응답 메시지에 포함하고 있는 HTML 코드가.. 2023. 10. 27.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란?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I? URL? URN? URI는 로케이터(Locator), 이름(Name) 또는 둘 다 추가로 분류될 수 있다. 즉, URI는 URL과 URN을 총칭하는 상위 개념이다. URI는 웹 상의 자원(resource)을 나타내는 고유한 식별자이다. URL Locator : 리소스가 있는 위치를 지정 위치는 변할 수 있음. URL의 문법 및 구조 프로토콜(또는 스킴(Scheme)) :http, https, ftp 등 호스트명 : 자원이 위치한 서버의 도메인 이름 또는 IP주소(예: www.google.com) 포트번호: 서버에 접근하기 위한 포트 번호, 일반적으로 http는 80port, https는 443포트를 사용한다. path : 서버 내에서 자.. 2023. 10. 26.
HTTP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 메시지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란? HTTP는 Hyper 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어이며, 월드 와이드 웹(www)에서 정보를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대표적인 프로토콜이다. HTTP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이며, HTTP 메시지에 html, text, image, 음성 영상, 파일, json, xml(api) 등 겅의 모든 형태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기반 프로토콜 현재 사용되는 HTTP 버전은 1.1, 2, 3이 사용된다. HTTP/1.1 버전이 가장 많이 사용되며, 2와 3은 1.1에서 성능이 개선된 형태.* TCP: HTTP/1.1, HTTP/2 * UDP: 현재 HTTP/1.1을 주로 사용하며, HTTP 2, 3도 .. 2023. 10.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