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Spring Security2 Spring Security 기반 JWT(JSON Web Token) 개념 및 구현 (1) - 무상태 인증의 구조적 이해 📌 목차 1. JWT란 무엇인가? 2. JWT를 사용하는 이유 3. 세션 기반 인증 vs JWT 기반 인증 4. Refresh Token을 활용한 대응 방안 5. 요약 및 마무리 ">📌 목차1. JWT란 무엇인가? 2. JWT를 사용하는 이유 3. 세션 기반 인증 vs JWT 기반 인증 4. Refresh Token을 활용한 대응 방안 5. 요약 및 마무리1. JWT란 무엇인가?">1. JWT란 무엇인가?JWT(Json Web Token)는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JSON 형식으로 구조화하여 하나의 토큰에 담아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하는 방식이다.이 방식의 핵심은 서버가 인증 상태를 별도로 저장하지 않고도, 매 요청 시 클라이언트가 전달하는 토큰만으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는 데 있다. 이는 Statele.. 2025. 4. 24. Spring Security의 인증 저장 구조: SecurityContextHolder의 내부 메커니즘 📌 목차 1. 인증 저장 구조의 개요 2. Authentication 객체란 무엇인가? 3. SecurityContext의 역할 4. SecurityContextHolder란 무엇인가? 5. ThreadLocal을 사용하는 이유 6. 실전 사용 예시 7. 인증 정보의 생명주기 8. 정리 ">📌 목차1. 인증 저장 구조의 개요 2. Authentication 객체란 무엇인가? 3. SecurityContext의 역할 4. SecurityContextHolder란 무엇인가? 5. ThreadLocal을 사용하는 이유 6. 실전 사용 예시 7. 인증 정보의 생명주기 8. 정리 1. 인증 저장 구조의 개요">1. 인증 저장 구조의 개요Spring Security는 인증(Authentication) 관련 정보.. 2025. 4. 9. 이전 1 다음 728x90